1995년 한국시리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5년 한국시리즈는 OB 베어스가 LG 트윈스를 꺾고 우승을 차지한 한국 프로 야구의 포스트시즌 경기이다. 정규 시즌에서 OB 베어스가 1위를 차지하여 한국시리즈에 직행했고, LG 트윈스는 플레이오프에서 롯데 자이언츠에게 승리하여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한국시리즈는 7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OB 베어스가 4승 3패로 승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5년 야구 - 1995년 한국프로야구
1995년 한국프로야구는 OB 베어스가 정규시즌 우승과 롯데 자이언츠와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병규의 타격왕, 이상훈의 다승왕 등 개인 기록이 경신되었고 김상호가 MVP를 수상하는 등 OB 베어스가 최고의 팀으로 기록되었다. - 1995년 야구 - 1995년 월드 시리즈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는 1995년 월드 시리즈에서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를 4승 2패로 꺾고 톰 글래빈의 MVP 수상과 함께 1957년 이후 처음이자 애틀랜타 연고 팀 최초로 월드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 - OB 베어스 포스트시즌 - 1987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1987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은 해태 타이거즈가 플레이오프에서 OB 베어스를 꺾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하여 삼성 라이온즈를 4전 전승으로 꺾고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한 해이다. - OB 베어스 포스트시즌 - 1995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1995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은 정규 시즌 3위 롯데 자이언츠가 플레이오프에서 LG 트윈스를 꺾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하여 OB 베어스와 우승을 다투었으며, 롯데 자이언츠는 OB 베어스에 패하여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 롯데 자이언츠 포스트시즌 - 1999년 한국시리즈
프로 야구 양대 리그 출범 후 처음 열린 1999년 한국시리즈에서는 한화 이글스가 드림 리그 롯데 자이언츠를 4승 1패로 꺾고 창단 첫 우승을 차지했으며, MVP는 구대성이 수상했고 롯데와 삼성의 플레이오프 최종전에서는 관중 난동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 롯데 자이언츠 포스트시즌 - 2017년 KBO 포스트시즌
2017년 KBO 포스트시즌은 정규 시즌 1위 KIA 타이거즈의 한국시리즈 직행 후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NC 다이노스, SK 와이번스가 와일드카드 결정전,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를 거쳐 두산 베어스가 한국시리즈에 진출, 최종적으로 KIA 타이거즈가 우승한 가을 야구이다.
1995년 한국시리즈 | |
---|---|
1995년 한국시리즈 정보 | |
개최년도 | 1995년 |
우승 팀 | OB 베어스 |
우승 팀 승리 수 | 4 |
우승 팀 감독 | 김인식 |
우승 팀 시즌 성적 | 74승 5무 47패 (정규시즌 1위) |
상대 팀 | 롯데 자이언츠 |
상대 팀 승리 수 | 3 |
상대 팀 감독 | 김용희 |
상대 팀 시즌 성적 | 68승 5무 53패 (정규시즌 3위) |
경기 일정 | 1995년 10월 14일 ~ 10월 22일 |
MVP | 김민호 |
2. 정규 시즌
1995년 한국프로야구 정규 시즌에서 OB 베어스는 74승 5무 47패, 승률 0.607로 1위를 차지하여 한국시리즈에 직행했다. LG는 74승 4무 48패, 승률 0.603으로 2위를 기록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롯데는 68승 5무 53패로 3위를 기록하여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 1. 순위표
순위 | 구단 | 승 | 무 | 패 | 승률 | 게임 차 | 포스트 시즌 |
---|---|---|---|---|---|---|---|
1 | OB 베어스 | 74 | 5 | 47 | 0.607 | 0.0 | 한국시리즈 직행, 한국시리즈 우승 |
2 | LG | 74 | 4 | 48 | 0.603 | 0.5 | 플레이오프 직행, 플레이오프 패배 |
3 | 롯데 | 68 | 5 | 53 | 0.560 | 6.0 | 한국시리즈 진출, 한국시리즈 준우승 |
4 | 해태 | 64 | 4 | 58 | 0.524 | 10.5 | 진출 실패 |
5 | 삼성 | 60 | 6 | 60 | 0.500 | 13.5 | 진출 실패 |
6 | 한화 | 55 | 0 | 71 | 0.437 | 21.5 | 진출 실패 |
7 | 태평양 | 48 | 5 | 73 | 0.401 | 26.0 | 진출 실패 |
8 | 쌍방울 | 45 | 3 | 78 | 0.369 | 30.0 | 진출 실패 |
2. 2. 주요 기록
1995년 한국시리즈의 주요 기록은 다음과 같다.순위 | 구단 | 승 | 무 | 패 | 승률 | 게임 차 |
---|---|---|---|---|---|---|
1 | OB | 74 | 5 | 47 | 0.607 | 0.0 |
2 | LG | 74 | 4 | 48 | 0.603 | 0.5 |
3 | 롯데 | 68 | 5 | 53 | 0.560 | 6.0 |
4 | 해태 | 64 | 4 | 58 | 0.524 | 10.5 |
5 | 삼성 | 60 | 6 | 60 | 0.500 | 13.5 |
6 | 한화 | 55 | 0 | 71 | 0.437 | 21.5 |
7 | 태평양 | 48 | 5 | 73 | 0.401 | 26.0 |
8 | 쌍방울 | 45 | 3 | 78 | 0.369 | 30.0 |
1995년 시즌 3위 롯데 자이언츠와 4위 해태 타이거즈 간의 승차가 3경기 이상으로 벌어져 페넌트레이스가 종료되면서, 당시 규칙에 따라 준 플레이오프는 열리지 않았다. 대신 2위 LG 트윈스와 7전 4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는데, 롯데가 4승 2패로 1995년 한국시리즈에 진출하였다.
3. 포스트시즌
3. 1. 플레이오프
1995년 시즌 3위 롯데 자이언츠와 4위 해태 타이거즈 간의 승차가 3경기 이상으로 벌어진 채 페넌트레이스가 종료되면서, 당시 규칙에 따라 준 플레이오프는 열리지 않았다.[1] 대신 2위 LG 트윈스와 7전 4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는데, 롯데가 4승 2패로 1995년 한국시리즈에 진출하였다.[1]
3. 2. 한국시리즈
1995년 한국시리즈는 OB 베어스(현 두산 베어스)와 롯데 자이언츠가 맞붙은 시리즈였다.1차전은 김영삼 대통령의 시구로 시작되었으며, 염종석과 김상진의 선발 맞대결에서 롯데가 승리했다. 2차전에서는 주형광과 권명철이 선발로 나왔고, OB가 김민호의 끝내기 밀어내기 볼넷으로 승리하며 한국시리즈 사상 2번째 끝내기 밀어내기 볼넷을 기록했다.[1] 3차전에서는 OB가 연장 10회 접전 끝에 승리했고, 4차전에서는 롯데가 다시 승리하면서 시리즈는 2승 2패로 균형을 이루었다. 5차전에서는 롯데가 연장 10회 공필성의 결승타로 승리하며 시리즈를 리드했다. 6차전에서는 OB가 진필중의 호투를 앞세워 승리하며 다시 동률을 만들었다.
7차전에서 OB는 김상진과 권명철의 호투와 타선의 집중력을 앞세워 롯데를 꺾고, 1995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2]
3. 2. 1. 1차전
10월 14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김영삼 대통령이 시구를 했다. 롯데는 선발로 염종석이 나섰고, OB는 그해 17승을 거둔 김상진이 선발로 나왔다.
3. 2. 2. 2차전
10월 15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 롯데는 주형광, OB는 권명철이 선발 등판했다. 롯데는 2회초 공필성의 3루타로 선취점을 뽑았고, OB는 5회말 김태형의 적시타로 동점을 만들었다. 이후 9회말 2사 만루 상황에서 김민호의 끝내기 밀어내기 볼넷으로 OB가 승리했다.[1] OB는 한국시리즈 사상 2번째 끝내기 밀어내기 볼넷을 기록했다.[1]3. 2. 3. 3차전
10월 17일 - 사직야구장 | |||||||||||||
---|---|---|---|---|---|---|---|---|---|---|---|---|---|
팀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득점 | 안타 | 에러 |
OB 베어스 | 0 | 0 | 1 | 0 | 0 | 1 | 0 | 0 | 0 | 3 | 5 | 13 | - |
롯데 자이언츠 | 0 | 0 | 0 | 1 | 0 | 0 | 0 | 0 | 1 | 0 | 2 | 8 | - |
승리투수: 이용호 패전투수: 김상현 | |||||||||||||
홈런: 공필성(9회 솔로) |
3. 2. 4. 4차전
10월 18일 사직야구장에서 열린 4차전에서 OB 베어스는 5회초에 1점을 먼저 얻었으나, 롯데 자이언츠는 2회말 1점, 6회말 1점, 8회말 1점을 추가하며 3:2로 승리했다. 김경환이 승리 투수가 되었고, 김상진이 패전 투수가 되었다.[1]3. 2. 5. 5차전
OB 베어스는 2회말 심정수의 3점 홈런 등으로 4점을 뽑아 기선을 제압하는 듯 했으나, 3회초에 롯데의 박현승에게 2타점 2루타를 맞는 등, 대거 4점을 내주면서 경기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이후 6회초에 OB 베어스는 롯데의 김응국에게 적시타를 맞으면서 역전을 허용했고, 7회말에 1점을 만회하여 동점을 만들었지만, 9회초 롯데의 김민재에게 적시타를 맞으면서 다시 역전을 허용했다. 9회말 OB 베어스는 안경현의 적시타로 재동점을 만들었지만, 연장 10회초 롯데의 공필성에게 결승타를 허용하면서 7:6으로 패배, 2승 3패로 벼랑 끝에 몰리게 되었다.3. 2. 6. 6차전
10월 21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6차전에서 OB 베어스가 롯데 자이언츠를 상대로 4:1로 승리했다. OB는 2회초에 2점, 3회초에 1점을 얻었고, 8회초에 1점을 추가했다. 롯데는 8회말에 1점을 얻는 데 그쳤다.이 경기에서 OB 베어스의 진필중이 승리 투수가 되었고, 롯데 자이언츠의 염종석이 패전 투수가 되었다.
3. 2. 7. 7차전
1982년 한국 프로 야구 리그 원년 우승 팀인 OB 베어스는 1995년, OB 베어스로 팀 명칭을 변경한 후 다시 한번 우승을 차지했다.[2] 7차전에서 롯데 자이언츠는 윤학길을, OB 베어스는 김상진을 선발 투수로 등판시켰다.1회말, OB는 롯데 선발 투수 윤학길을 상대로 김민호, 장원진, 김상호의 연속 안타로 선취점을 얻었고, 이명수의 내야 땅볼로 추가 득점에 성공했다. 3회말에는 롯데 박정태의 실책으로 2점을 더 얻었다. 롯데는 4회초 마해영의 솔로 홈런으로 추격에 나섰지만, OB는 김상진과 권명철이 롯데 타선을 9회까지 2점으로 막아냈다.
9회초 2사 후, 롯데는 공필성과 임수혁의 연속 안타와 실책으로 2사 2, 3루의 기회를 잡았으나, 대타 손동일이 투수 땅볼로 물러나면서 OB 베어스가 1995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확정지었다.[2]
4. 미디어
1995년 한국시리즈는 KBS 1TV, KBS 2TV, MBC TV, SBS TV 등 TV 채널과 KBS 제2라디오, MBC 표준FM, SBS 라디오 등 라디오 채널을 통해 중계되었다.
4. 1. TV 중계
KBS 1TV에서는 정도영 캐스터가 3차전과 7차전 중계를, KBS 2TV에서는 1차전 중계를 맡았으며, 해설은 하일성 위원이 담당했다.[1] MBC TV에서는 양진수 캐스터가 2차전, 5차전, 7차전 중계를, 해설은 허구연 위원이 담당했다. SBS TV에서는 유협 캐스터가 3차전, 6차전, 7차전 중계를, 해설은 정순명 위원이 담당했다.[2]
4. 2. 라디오 중계
참조
[1]
문서
무광고
[2]
문서
6차전때 김봉연 특별 해설위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